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부동산산업 종사자 매출비중 낮은 중개업이 32%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아시아경제 김종화 기자]우리 부동산산업 종사자 비중은 매출액 비중이 낮은 중개업 종사자가 31.7%를 차지하는 등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산업의 성장기반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17일 국토연구원의 '부동산산업의 국제비교와 시사점'에 따르면 우리 부동산산업 종사자 비중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1.1%보다 높은데 이는 우리 부동산산업이 상대적으로 영세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부동산산업의 종사자수의 비중에서도 영세성은 나타난다. 2013년 기준 부동산산업 종사자 수는 41만3028명으로 전 산업 종사자의 2.15%를 차지했다. 매출액 비율이 가장 높은 개발공급업의 종사자(2만6947명) 비율이 6.5%로 가장 낮은 반면, 매출액 비중이 8.4%에 불과한 중개업 종사자(13만901명) 비율이 31.7%로 상대적으로 높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전 산업 대비 부동산산업 종사자 비중이 한국은 2009년의 2.1%에서 2013년 1.9%로 다소 줄었으며, 건설업(7.0%) 및 금융업(3.4%) 종사자 수보다 비중이 크게 낮은 편이다.

그러나 OECD 평균인 1.1%보다 높고 일본 1.6%, 미국 1.7%, 영국 1.7%보다도 높은 편이다. 전 산업 대비 부동산산업 매출액 비중이 다른 나라보다 낮은데도 부동산산업 종사자 비율이 OECD 평균보다 높다는 것은 우리 부동산산업이 상대적으로 영세하다는 의미다.
부동산산업 매출액은 2007년 42조원에서 2010년 59조원으로 상승하다가 2011년 이후 감소하기 시작해 2013년 50조원 규모로 축소됐다. 2013년 기준 부문별 매출액을 보면 부동산 개발 및 공급업이 49.7%, 부동산관리업 27.3%, 부동산중개 및 감정평가업 12%, 부동산임대업 11%의 순이다.

국토연구원이 국제투입산출데이터베이스(WIOD : World Input-Output Database)를 분석한 자료를 보면 전 산업 산출액 대비 우리 부동산산업의 산출액 비율은 1995년 4.55%, 2000년 5.00%에서 2005년 4.39%, 2011년 3.32%로 감소추세다. 이는 WIOD 분석대상 미국, 프랑스, 일본, 중국 등 25개 국가 중에서 24위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25위는 중국으로 2.20%다.

전 산업 산출액 대비 부동산산업의 산출액 비율은 미국 8.25%, 독일 7.13%, 네델란드 5.67%, 대만 4.55%, 영국 6.81%, 일본 7.65%, 프랑스 8.47%, 호주 8.46% 등이다.

이에 따라 부동산시장의 구조변화에 대응하는 부동산산업의 성장기반을 찾고, 세계적인 부동산기업을 육성할 수 있는 방안도 함께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정희남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대부분 국가에서 부동산산업의 주류는 부동산임대업이지만 우리는 임대업 비중이 극히 낮은데 이는 우리 임대시장이 전월세시장에서 출발했기 때문"이라면서 "세계 각국이 부동산산업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있는 만큼 우리도 부동산산업의 성장기반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김종화 기자 justin@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