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라서 효율적 시장에서는 ‘단기적으로’ 주가를 예측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시장 평균 이상의 수익을 내는 것도 불가능하다. '완전시장(Perfect Market)'을 전제로 한 이 이론은 비현실적인 가정과 검증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현대 금융이론을 형성하는 절대적인 원리로 시장을 지배해 왔다.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가히 혁명적인 ‘정보문명’을 누리고 있는 현대사회이지만 정보격차(Digital Divide)현상은 의외로 심각하다.
미국의 사회학자 로버트 머튼(Robert Merton)은 성경 마태복음의 “좋은 나무가 나쁜 열매를 맺을 수 없고, 못된 나무가 아름다운 열매를 맺을 수 없다'는 구절에 이어 나오는 ”무릇 있는 자는 받아 풍족하게 되고 없는 자는 그 있는 것까지 빼앗기리라“는 구절을 인용하여 사회경제적 빈익빈 부익부 현상을 ‘마태효과(Mattew Effect)’라 이름 지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격위험은 추종자에게 고스란히 전가된다. ‘정보 있는 자는 정보를 받아 더욱 풍족하게 되고 정보 없는 자는 가진 정보까지도 빼앗긴다.’ 는 마태효과는 불길한 예언처럼 어김없이 작동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개인투자자는 서울증시에서 늘 정보의 숙명적 ‘주변인”으로 전락하고 만다. 일찍이 노자는 도덕경에서 “하늘의 도는 여유 있는 데서 덜어다 부족한 쪽에 보충해주는데, 사람의 도는 그렇지 않다.
오히려 부족한 쪽을 착취해서 여유 있는 자에게 바친다(天之道 損有餘而補不足 人之道 則不然 損不足而奉有餘)고 한탄했는데, 인간의 욕망이 첨예하게 각축하는 주식시장에서 정보의 비대칭성은 개인투자자에게 ’불리한 선택(Adverse Selection)‘을 유도하고 그 결과는 거의 치명적이다.
한국거래소는 오는 6월15일부터 가격제한폭을 ±15%에서 ±30%로 확대하는 내용의 유가증권시장, 코스닥시장 및 파생상품시장 업무규정 시행세칙을 개정한다고 지난 18일 밝혔다. 17년 만에 나온 이 규제완화 조치는 정보의 가격반영 속도를 높이고 그 범위를 확대하여 시장의 효율성을 제고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정보에 어둡고 리스크 관리가 서툰 개인투자자들의 피해가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금융시장에서 정보약자(弱者)는 늘 ‘무력한 피해자’로 속절없이 추락하기 때문이다.
장자(莊子)는 “성인은 자신의 지혜가 아니라 하늘의 이치에 비추어 판단한다(照之于天)”라는 언명을 통해 밝은 지혜로 과오가 없는 행동을 하려면 일체의 선입관이나 고정관념으로부터 스스로를 해방할 것을 촉구했다.
장자의 이 예지(叡智)는 시공을 뛰어넘어 영국의 철학자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에 닿는다. “아는 것이 힘이다”라는 경구(警句)로 우리에게 익숙한 그는 저서, ’신기관(新機關, Novum Organum)‘에서 올바른 판단에 이르기 위해서는 ’종족·동굴·시장·극장‘의 네 가지 이돌라(Idola: 우상, 편견)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찰과 실험을 중시하고, 개별적 경험에 근거를 두는 귀납법을 제창한 그는 혹한 속에서 닭의 배에 눈과 얼음을 채워 넣는 방부(防腐)실험을 하다가 독감에 걸려 죽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