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주당 근로시간을 52시간으로 축소할 경우 시행 첫해에만 1만8500명의 신규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예상됐다. 또 자동차 튜닝규제 완화 시 2020년까지 최대 2만3000여명의 신규채용이 이뤄지는 등 정부 예산을 투입하는 사업보다 규제개선을 통한 일자리 창출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창조경제분야는 예산 10억당 창출되는 일자리 개수, 규제개선분야는 예산투입이 없는만큼 기업환경 내 애로 해소를 통한 신규 일자리 개수를 추산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먼저 창조경제분야에서는 지형정보를 구축해 GPS, 내비게이션, 빅데이터, 지하시설 전산화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공간정보 융복합사업이 35명으로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환경부의 환경기술 R&D투자 확대사업으로 10억당 일자리 창출 개수가 28개였다. 고용부 관계자는 "정부 지원을 받는 소규모 기업은 상용직 연구인력을 중심으로 고용이 20%가량 늘어나는 효과가 있었다"며 "단 수혜기업 대부분이 정부 지원이 끝나면 R&D인력을 감축할 계획으로 나타나 지원업체 선정 시 장기고용을 의무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재정을 투입하지 않고 기업 내 고용창출을 가로막는 애로를 해소함으로써 얻는 규제개선분야의 신규일자리 창출효과가 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부 관계자는 "이번 평가결과, 재정투입 없이도 기업들의 고용 애로사항을 없앨 수 있고 고용창출 유인을 만들어 더 큰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규제개선분야에서 1위를 기록한 장시간 근로개선 정책의 경우 주당 근로시간을 52시간으로 단축해 시행 첫해 1만8500명, 누적 14만~15만명의 일자리를 새롭게 만들 것으로 추산됐다. 단 연장근로 한도를 초과해 근로하는 특례업종 규제를 현 26개로 유지할 경우와 10개로 축소할 경우 첫해 고용창출효과는 각각 1만3700명, 1만5700명을 나타냈다. 고용부 관계자는 "근로시간 특례업종 규제를 함께 개선하지 않을 경우 일자리 창출 효과는 26%정도 감소한다"고 설명했다.
2위는 국토부의 자동차 튜닝 활성화 정책이다. 튜닝규제 수준 완화 시 2014년 대비 2017년까지 6117명, 2020년까지 1만3323명의 고용창출이 기대됐다. 특히 규제 수준을 대부분 허용하는 D등급 단계까지 낮출 경우 2020년까지 최대 2만3786명의 신규 일자리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추산됐다. 튜닝 규제지수와 연계해 살펴보면 규제지수 10% 완화 시 기업당 고용이 0.5~0.6명 늘어난다는 분석이다. 다만 인력양성시스템 구축을 위한 튜닝 특성화고, 연합 사내대학 설립, 자격증제 도입 등에 대한 검토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어 산업자원통상부의 도시 첨단산업단지 필지면적 규제완화 정책이 직접고용 1396명, 간접고용 3458명 등 총 4854명의 일자리 창출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돼 3위를 기록했다. 이는 기업들이 산업단지에 소규모 필지로 입주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하는 정책이다.
이재흥 고용부 고용정책실장은 "우리 사회의 가장 큰 화두가 일자리인 만큼 다양한 분야의 정책들이 일자리창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고용영향평가에서 나온 결과들을 정책에 최대한 반영하고, 고용영향평가 제도의 실효성도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부터 최초로 대국민 공모를 통해 접수한 2015년 평가과제로 64개 후보과제 중 최종 21개가 선정됐다. 이 가운데 대국민 제안과제는 최저임금 인상, 한-칠레 자유무역협정(FTA) 효과,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지원정책, 시간선택제 일자리, 장년고용대책 등 5개다. 고용부는 오는 8월까지 평가를 실시, 온라인DB를 통해 결과를 공개할 예정이다.
세종=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