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간의 발표에서 제시된 정책을 관통하는 키워드는 '경제활성화'다. 박근혜정부의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뒷받침하기 위해 경제에 실질적 자극을 줄 수 있는 정책 패키지를 준비한 것으로 풀이된다. 경제활성화를 위한 핵심적인 정책수단은 규제개선이다. 지난해 4월 국토부는 2017년까지 기존 규제의 30%를 감축하겠다고 약속했는데, 규제 혁파에 자신감이 붙었는지 당초 목표에 10%를 더해 모두 40%의 규제를 감축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예상을 웃도는 24조8000억원의 사회간접자본(SOC) 투자재원을 마련한 터에 더욱 과감한 규제철폐로 민간부문의 창의력과 자본을 활용함으로써 투자효과를 극대화하겠다는 의도로 읽힌다.
둘째 건설서비스 분야 활성화를 통한 건설산업의 체질개선이다. 기업형 임대주택사업, 부동산리츠(REITs) 업무범위 확대, 부동산개발업의 경쟁력 강화, 공공기관 기능 재조정 등 건설서비스 분야의 발전은 수주ㆍ시공 위주 건설산업에 확장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장기적으로 경기하강으로 수주물량이 감소하면 바로 치명상을 입는 건설산업의 경기변동 대응력을 높일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건설산업에 정보통신기술(ICT) 융합의 계기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국토부는 공공부문이 관리하는 1504개 항목의 건축행정시스템과 실시간 대중교통 빅 데이터를 민간에 제공할 예정이다. 공공정보의 민간 개방은 시설물에 정보기술을 장착하는 기존의 방식과는 차원이 다른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는 기폭제가 될 수 있다. 특히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청년층에게 창업기회를 제공한다면 사회경제적으로 큰 효과를 볼 것이다.
이종광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