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은 6일 '핀란드 사례를 통한 중소기업 R&D 지원시스템 비교와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정부의 중소기업 R&D 지원제도가 혁신적 투자를 가로막고 있다고 지적했다. 2012년 우리나라의 중소기업 R&D 지원과제 개발성공률은 96%인데 반해, 사업화율은 47.2%로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이와 같이 사업화율이 낮은 이유에 대해 한경연은 혁신적이고 파급력이 크지만 리스크가 있는 과제보다 안전하고 쉬운 과제 위주로 지원이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우리와 달리 핀란드는 혁신적 중소기업들을 다수 배출하고 있다. 앵그리버드를 탄생시킨 로비오(Rovio)가 대표적인 사례다. 그 배경에는 핀란드 기술혁신투자청(이하 Tekes)을 통한 효과적인 지원 프로그램이 큰 몫을 하고 있다. 보조금 또는 대출 형태로 R&D 사업을 지원하는 핀란드의 경우, 성실하게 연구를 수행했지만 대출금 상환이 어려운 기업에게는 대출기한을 최장 20년까지 연장하거나 상환을 면제해주는 등 성실실패를 폭 넓게 용인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보조금 지원 방식만을 채택하고 있다.
한경연은 또 중소기업 R&D 사업의 사업화율이 낮은 이유로 통합 관리 체계의 부재를 지적했다. 우리나라는 연간 2조 5000억 원을 중소기업 R&D 지원에 투입하고 있다. 하지만 부처간ㆍ사업간 통합관리를 통한 체계적 지원기능이 미비하다보니, 중소기업 한 곳이 여러 지원 사업에 중복 참여하는 부작용도 발생하고 있다.
이에 한경연은 핀란드의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핀란드의 경우, R&D 지원 대상 기업의 선정부터 지원ㆍ모니터링ㆍ평가 전 과정을 Tekes가 통합관리하고 있다. 이와 달리 우리는 중소기업청ㆍ미래창조과학부ㆍ산업통상자원부 등 19개 정부부처와 공공기관이 산발적으로 중소기업 R&D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아울러 한경연은 통합 관리체계가 마련돼 있지 않다보니 사업 지원 과정에서 효율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지원 후 성과 평가도 체계적이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핀란드 Tekes의 경우, 지원 사업의 경제적 성과평가와 함께 고용창출 효과 등 사회경제적(socio-economic) 영향 평가도 수행하고 있다. 2012년 Tekes가 2009년 종결 사업에 대한 고객평가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지원을 받은 중소기업 R&D 사업의 50% 이상이 상업화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 14,000유로(한화 약 1,723만원)를 지원했을 때 정규직 일자리가 1개 늘어나고, 1유로(한화 약 1,231원)당 평균 21유로(한화 약 2만 6000원)의 매출이 발생했다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핀란드에 비해 우리나라는 중소기업 R&D 지원에 대한 경제적 성과평가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일부 지원 사례는 평가가 이뤄지긴 했지만 비용대비 효과가 떨어진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국회예산정책처 정책연구 용역보고서에 따르면 중소기업 R&D 사업에 1억 원을 지원했을 때 0.67명의 고용창출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태규 한경연 미래전략연구실장은 "R&D 지원 후 체계적인 평가를 통해 데이터를 축적하고 이를 정책 방향에 반영하는 시스템이 부재하기 때문에 성과도 부진할 수밖에 없다"며, "유사ㆍ중복 지원을 막고 전략적 투자를 늘리기 위해서는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