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대떡 유래' 알고보니 옛 조상들의 情을 느낄 수 있어…
[아시아경제 온라인이슈팀] '빈대떡 유래'에 대해 네티즌들의 눈길이 쏠리고 있다.
이 같은 빈대떡은 빈자병, 녹두지짐, 녹두전병, 녹두적, 빈자법 등 다양하게 불리는데, 빈대떡이라는 명칭은 병자병이 세월이 흐르는 동안에 빈자떡이 되고 다시 빈대떡으로 불리게 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빈대떡의 유래에는 가난한 사람을 위한 음식이라 하여 빈자떡에서 유래했다는 것과 ‘명물기략’(名物紀略, 1870년경)에서는 중국의 밀가루 떡인 알병의 ‘?(알, 기름에 튀긴 음식)’자가 빈대를 가리키는 ‘蝎(갈)’로 잘못 알려져 빈자떡이 되었다는 설이 있다.
이외에 정동(貞洞)을 빈대가 많다고 하여 빈대골이라 하였는데 이곳에는 빈자떡 장수가 많아 빈대떡이 되었다는 설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흉년이 들면 당시의 세도가에서 빈대떡을 만들어 남대문 밖에 모인 유랑민들에게 “어느 집의 적선이오.” 하면서 던져주었다고 한다.
온라인이슈팀 issu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