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44%, '말하기'가 가장 중요… 실제 수업은 '문법'에 치중
14일 정유경 동덕여중 교사가 서울지역 중고등학생 99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중·고등학생의 영어 사교육 실태조사 연구'에 따르면 학교 영어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불만족도는 67.5%에 이르렀다. 학생들은 영어 중 '말하기'가 가장 중요하다(44.1%)고 생각했지만 정작 학교 수업은 여전히 문법에 치중돼 있다고 느끼기 때문이었다. '문법'이 중요하다는 응답은 18.5%로 1위와 큰 격차를 보였으나, 실제 수업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뤄지는 영역으로 58.4%가 문법을 꼽았고 말하기는 9.5%에 그쳤다.
한국인의 영어실력이 '시험용'이라는 지적은 지난해 한 교육기업의 '영어능력지수' 평가에서도 제기된 바 있다. 지난해 11월 글로벌 교육기업 EF코리아가 발표한 '제4차 EF 영어능력지수(EF EPI, English Proficiency Index)에 따르면 비영어권 국가 63개국 중 성인의 영어 실력이 가장 우수한 국가는 덴마크이며, 한국은 24위에 머물렀다. 아시아 국가인 인도(25위)와 인도네시아(28위)는 지난 7년간 각각 6.19점, 7.96점 오른 반면 한국은 오히려 0.57점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 평가에서 우리나라는, 20세 전후에서 커리어 활동이 왕성해지는 40세 전후로 갈수록 영어 실력이 점차 향상되는 세계적 추세와 정반대의 양상을 보였다. 한국의 18~24세 EPI 평균은 글로벌 평균보다 3.63점 이상 높아 아시아에서 싱가포르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반면, 25~34세에서 급격히 하락해 전 세계 평균을 밑돌고 35~44세 그룹에서는 아시아 평균보다도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결국 우리나라 학생들은 '학교 수업만으로는 영어를 잘할 수 없다'고 인식하게 돼, 이것이 영어 사교육 필요성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의 68.7%가 '학교 수업만으로는 영어실력을 키우기 어렵다'고 봤으며 84.4%는 '영어 사교육이 학교 공부에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여건이 된다면 영어 사교육을 받을 의향이 있느냐는 문항에는 73.2%가 '있다'고 밝혔다.
이윤주 기자 sayyunju@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한국인들 미쳤다"…라이브 방송서 '이것' 한 입 먹더니 극찬한 팝스타 [특징주]](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412543780113_1761278078.jpg)





![[특징주]SAMG엔터, 리사 '하츄핑' 인증샷에 27%대 급등](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410123679742_1761268355.jpg)









![[리셋정치]실장 외교, 참모 정치의 명암](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414284062386A.jpg)
![[초동시각]국립대병원이 '지역·공공의료' 지키려면](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410314631885A.jpg)
![[기자수첩]'편면적 구속력' 도입이 불안한 이유](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410461757219A.jpg)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갭투자 아직 되죠?"…'규제 피한 투자처' 인기에 돈 싸 들고 몰리는 경매 시장[부동산AtoZ]](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416155980443_1761290159.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