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교육부가 밝힌 '2015년 대학구조개혁평가 기본계획'에 따르면 평가지표는 일반대학이 18개, 전문대학이 16개다.
정량지표의 평가자료 기준시점은 최근 3년으로 설정하고 일부 평가지표는 대학의 특성, 여건을 고려해 구분평가를 적용키로 했다. 전임교원 확보, 교육비 환원율은 국·공립과 사립을 구분하며, 학생충원율도 수도권과 지방을, 취업률은 대학의 소재 권역, 계열 구성, 학생의 성별 등을 각각 구분해 평가한다.
일반대학은 단계평가, 전문대학은 단일평가를 통해 각 5개 등급을 매기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일반대학은 1단계 평가에서 교육여건, 학사관리, 학생지원, 교육성과를 토대로 상위그룹과 하위그룹을 구분하고 상위그룹에서 점수로 A·B·C등급을 결정한다. 이어 하위그룹을 대상으로 중장기발전계획, 교육과정, 특성화 항목에 대한 평가를 실시한 뒤 100점 만점((1단계 60점+2단계 40점)으로 D, E등급을 최종 산출한다. 전문대학의 경우 단일평가를 통해 A∼E등급을 결정한다.
대학들은 내년 3월 말까지 구조개혁에 관한 자체평가를 시행한 뒤 관련자료를 제출하고 평가결과는 서면·현장평가, 이의신청 등의 절차를 거쳐 내년 8월 최종 발표된다.
오진희 기자 valer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