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을 돌아보는 여러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포털에서 한 해 동안 가장 많이 검색된 단어를 살펴보는 것도 재미있는 방법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네이버에서는 다음이, 다음에서는 네이버가 각각 최다 검색어라는 다소 허탈한 결과가 나왔지만 구글에선 배우 로빈 윌리엄스가 가장 많이 검색된 단어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구글은 사람들의 취향을 쉽게 엿볼 수 있게 해줍니다. 올해 사람들이 가장 좋아한 음악이 영화 '겨울왕국'의 OST라든가, 가장 많이 다운로드받은 애플리케이션이 페이스북이라든가 하는 통계들은 우리의 2014년을 잘 보여줍니다.
인문사회과학 분야에서 올해 가장 큰 반향을 일으킨 생각을 살펴보려면 책 판매량과 논문 인용도, 그리고 사람들의 논쟁과 같은 것들을 적절히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사회과학 분야에서 2014년은 누가 뭐래도 피케티의 해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피케티가 현재 우리가 겪고 있는 양극화의 원인으로 자본소득과 노동소득의 격차를 지적하였다면,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의 브린욜프슨 교수와 맥아피 교수는 우리의 현재 기술이 야기할 미래의 양극화를 암울하게 전망했습니다. 그들의 책 '제 2의 기계시대'는 로봇에 의한 일자리 잠식에 대한 적지 않은 논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책이나 논문이 아니라 현실에서 시작되어 큰 논쟁을 불러일으킨 사건들도 있었습니다. 우버를 둘러싼 논쟁이 대표적 사례입니다. 우버나 에어비엔비, 리프트 같은 회사들을 사회적인 효율성을 높이는 혁신적인 공유경제라고 불러야 할지, 세금과 규제를 무시하는 불량기업들이라고 해야 할지 첨예한 대립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우리나라에서는 이런 서비스와 더불어 이른바 핀테크 분야 스타트업들과 규제의 충돌이 부각되기도 했습니다. 스타트업들이 각국 경제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매김하면서 기존 제도와 부딪혀 발생하는 논란들을 피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다시 달력을 만지작거립니다. 한 해가 간다고 해서 제 게으른 삶이 크게 달라질 것 같지는 않습니다. 어제를 살듯 내일도 살게 될 것이 거의 틀림없지요. 그러나 아주 조금씩, 털끝만큼이라도 변하지 않고는 살기 어려운 변화의 압력이 우리 곁에 와있습니다. 빙판이라도 발을 내딛어야 살 모양입니다.
김도현 국민대 경영학 교수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