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과 아시아금융학회는 25일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추락하는 원·엔 환율,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오 회장은 이에 따라 핫머니 등 무분별한 자본유입에 대한 거시건전성 차원의 규제, 외환시장 교란에 대한 질서 있는 외환시장 개입은 물론 전향적인 금리 환율 정책조합 운용, 불황형 흑자 교정을 위한 내수 진작, 한국의 입장과 정책에 대한 국제적 공감 확대를 위한 국제금융외교 강화 등 다각적이고 전향적인 대책을 시급히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태신 한경연 원장은 "달러 강세로 엔화 약세가 가속화하고 있지만, 원화는 불황형 경상수지 흑자와 외국인 주식순매수로 약세 전환에 제약을 받아 원·엔 환율이 급락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변양규 한경연 거시경제연구실장은 "내년에 엔·달러 평균 환율이 116엔을 기록하면 순수출이 감소해 우리 경제성장률이 0.27%포인트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기흥 국회입법조사처 경제산업조사실장은 "한국수출 상위 100대 품목 가운데 55개가 일본 수출 상위 100대 품목과 중복된다"면서 "특히 이들 품목 수출이 한국 총수출의 54%를 차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원·엔 환율 하락이 한국 경제에 어려움을 초래함은 물론 엔저에 따른 엔캐리트레이드 자금 유입이 증가해 한국외환시장의 혼란을 가중시킬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강삼모 동국대 교수는 "최근 원·달러 환율보다 원·엔 환율의 절상폭이 훨씬 커서 원·엔 환율의 절상 무역수지에 더 큰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강 교수는 외환시장 불안정을 줄이는 미세개입, 내수진작으로 환율절상을 초래하는 과도한 무역수지 축소, 한국은행 금리 추가 인하, 기술력 확보, 수출 시장 다변화, 환위험 헤징 및 기업의 노력 등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