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명 교수 28명·전임 세제실장 3명 포진…회의 땐 24명 불참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6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제47차 세제발전심의위원회에 참석, 박용만 위원장(대한상의 회장)과 웃으면서 대화를 하고 있다.
7일 기재부에 따르면 최 부총리 취임 후 새로 꾸려진 세발위 위원은 민간 위원장을 맡는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을 제외하고 67명이다. 67명 가운데 대학교수(학회 회장 포함)가 전체의 41.7%인 28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제계(단체 및 기업체 포함)와 전문가그룹(세무·회계·법률 등)이 각각 11명, 국책 및 민간연구기관 6명, 시민단체 4명, 언론계 4명, 주택건설계 2명, 노동계 1명 등이다. 시만단체라도 강병구 참여연대 조세재정개혁센터소장(인하대 교수), 김유찬 경실련 부위원장(홍익대 교수) 등이 교수여서 실제로는 교수가 30명이다.
세발위 위원 가운데는 정부와 국책기관 인사들이 눈에 띈다. 특히 이희수 한국기업데이터 대표(행정고시 22회·국제통화기금 상임이사), 허용석 삼일경영경제연구원(행정고시 22회·관세청장), 주영섭 안진회계법인 고문(행정고시 23회·관세청장) 등 3명은 모두 기재부 세제실장을 역임했다.
노형철 법무법인 세종 대표세무사(행정고시 22회)는 국세청을 거쳐 재정경제부 국세심판원 상임심판관을 마치고 세종으로 자리를 옮겼다. 박윤준 선진회계법인 고문(행시 27회)은 지난해 국세청 차장으로 명예퇴임하고 로펌으로 간 케이스다. 김병일 강남대 교수도 기재부출신이다. 성명재 홍대 교수(조세재정연구원 연구위원), 손재영 건국대 교수(국토연구원·한국개발원)는 국책기관 출신이다.
지난해는 현오석 전 부총리가 만든 '2013세법개정안'이 중산층 세부담 논란으로 일주일 만에 수정되면서 세발위가 제 역할을 못했다는 지적이 있다. 기재부는 이번에는 직능단체, 시민단체의 참여를 강화했지만 이번에도 위원들의 인적구성과 회의 방식, 최종적으로는 정부안이 큰 무리없이 통과돼 거수기 논란이 다시 불거질 것으로 보인다.
세종=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
전슬기 기자 sgju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