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 "다시 선택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도 IBK기업은행에 입행하겠습니다." 2년7개월 전 세간의 관심 속에 IBK기업은행에 들어간 김호진 과장은 당시의 결정을 후회하지 않았다.
김 과장은 남성들 사이에서 부러움과 시샘을 한몸에 받았던 '스타'였다. 당시 주한미국 생존교관이었던 그는 공중파 방송의 예능프로그램인 '휴먼서바이벌 도전자'에 출연해 우승을 거머쥐었다. 그 프로그램은 일반인 남녀 18명이 하와이에서 20일 동안 신체적, 지적, 사회적 능력이 요구되는 다방면의 미션을 수행하면서 최후까지 살아남는 한 사람을 선발하는 것이었다. 우승자에게는 후원사인 기업은행에 취직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고, 도전은 결국 자신과의 싸움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자신과의 싸움에서 지는 것을 싫어합니다." 김 과장이 생각하는 도전의 의미다. 2011년 12월 기업은행 입행 후 김 과장은 끊임없이 자신과의 싸움을 계속하고 있다. 우선 전혀 다른 일을 하게 된 만큼 생각부터 생활까지 모든 것이 바뀌었다. 그는 "완전히 다른 일을 하고 있고, 전 직장의 업무와 연결되는 부분이 하나도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며 "전에는 자신을 위한 라이프 패턴이었다면 여기서는 자신이 아닌 상대방을 위한 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과장은 기업은행의 배구단과 사격단 등을 관리하는 업무를 맡고 있다. 여자축구 후원 등 스포츠를 통한 사회공헌도 그의 업무다. 일상생활도 전과는 많이 달라졌다. 김 과장은 "전에는 만나는 사람이 제한돼 있었지만 이제는 여러 사람들을 만나 다양한 네트워크가 생겼다"며 "새로운 일을 하고 새로운 경험을 통해 성장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다만 사람들을 만나는 일이 많다보니 어울려 술 마실 일도 늘고 스포츠 특성상 주말 이벤트가 많아 가족과 보내는 시간이 줄었다는 점은 그가 가장 안타깝게 생각하는 부분이다.
김 과장은 이제 은행원 티가 난다는 얘기를 많이 듣는다. 그래서인지 이제는 지금까지 해오던 스포츠마케팅 분야가 아닌 은행 고유의 업무에도 도전해보고 싶다. 그의 도전은 아직 현재 진행형인 셈이다. 김 과장은 "은행원이 되고자 기업은행에 들어왔고 이제는 은행 고유의 업무를 할 때가 됐다는 생각이 든다"며 "은행에 필요한 일이나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면 새로운 일에 도전하고 경험을 쌓고 싶다"는 포부를 전했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눈이 휘둥그레, 딴 세상이 펼쳐진다"…'보석' 같은 공간들 [world photo]](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3110155489387_1761873354.jpg)


!["병원 한 번 가면 100만원은 그냥 깨져요"…목돈 대비 나선 반려인들의 선택[주머니톡]](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214265191008_1762061211.jpg)

![[단독]2년 지나 만드는 '오송 백서'…국정조사·정부대응 다 담긴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4011717052533311_1705478726.jpg)




![[대만칩통신]TSMC 타이중 신공장 2나노→1.4나노 확정…첨단 공정 구축 박차](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3013093187884_1761797371.jpg)
![[과학을읽다]탄소세에 쏠리는 관심, 누가 기후의 값을 치르는가](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311010458283A.jpg)
![[기자수첩]공수처, 존재 이유를 증명하라](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311070988175A.jpg)
![[초동시각]F학점 받은 국정감사](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311152133882A.jpg)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