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조세재정연구원에 따르면 현진권 자유경제원 원장은 연구원이 매월 펴내는 공공기관 이슈포커스 5월호에 이런 내용을 기고했다.
현 원장은 그러나 "비효율적 공공기관으로 인해 국민세금이 투입되는 상태에서 민간으로 넘어가면 쟁논리 속에서 효율제고를 위해 치열한 경영을 하게 된다"면서 "그 결과 국민세금의 투입이 없으므로 그만큼 좋은 정책방향"이라고 반박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공기관으로 남으면 좋은 정책이고 민영화하면 나쁜 정책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은 공익과 사익에 대한 뿌리깊은 역사적 인식구조와 관계가 깊다는 데 현 원장의 설명이다. 조선시대의 성리학체계에서 "공익은 좋은 것이고 사익은 억누르려야 할 대상이었다. 사익은 소인배들이 추구하는 것이고 선비는 공익을 추구해야 한다는 인식구조"라는 설명이다.
현 원장은 그러면서 공공기관의 혁신방향은 민영화뿐이라고 주장한다. 민영화는 두가지 형태의 접근법이 있다면서 정부가 재정을 부담하되 해당재화의 생산은 민간에서 하는 민간위탁이 있다. 또 다른 하나는 정부가 완전히 손을 떼는 것으로 완전한 민영화다. 현 원장은 "우리는 민영화라고 하면 완전한 민영화를 생각하는데 많은 민영화는 정부가 재정을 부담하되 생산주체는 민간이 되는 부분적 민영화가 더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현 원장은 "시장은 정부보다 훨씬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매커니즘"이라면서 "이런 역사적인 교훈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공기관의 혁신방향에 대해 사고혁신을 하고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세종=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