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애플의 운동생리학자 채용 공고 소식이 화제가 됐다. 이 소식을 들은 주변의 스포츠과학 전문가들은 출시 예정인 아이워치가 애플 이용자들의 신체 건강을 측정하는 기능을 포함할 예정이기 때문에 심혈관 건강과 칼로리 소모량, 개인적 운동 요구량 등을 분석할 연구자가 필요했기 때문이라는 해석을 내놓기도 하였다. 애플은 곧 채용 공고문을 삭제했지만, 이 소식을 접한 국내의 글로벌 IT 기업들도 더욱 분주하게 움직이기 시작했을 것이다. 어쩌면 애플이 채용할 스포츠과학자보다 더 뛰어난 학자를 찾기 위해 바빠졌을지도 모른다.
10여전 전에 필자가 연구원으로 있었던 나이키에서는 이미 100여명의 석박사급 스포츠과학자들이 혁신적인 스포츠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마케팅 및 디자이너 부서의 핵심 인력들과 함께 머리를 맞대고 협력하고 있었다. 미국 스포츠산업 시장은 2013년 당시 482조원 정도의 규모로 전 세계 영화산업 시장보다 5배가 크다. 우리나라의 스포츠산업 시장도 37조원 정도로 관광 시장의 2배 정도 규모이다. 그러나 국내 시장의 70% 이상을 해외의 글로벌 스포츠기업들이 점유하고 있으며, 국내 스포츠 산업체는 10인 미만의 사업체가 96%에 달하는 영세한 구조이다.
이기광 국민대 체육학부 교수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