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과의 만남은 부패 척결을 끝까지 추진하겠다는 시 주석의 강한 의지 및 친서민 이미지와 겹치면서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킨다. 시 주석은 부패 척결을 공산당의 존망과도 연계된 중대 사안으로 다루고 있다. 중국 사회의 부패는 과연 어느 정도인가.
대표적 사례로 광둥성 모밍(茂明)시 공직자 부패 비리가 있다. 2009년 상무 부시장의 부패 혐의 조사로 세상에 알려졌는데 2012년 성급 간부 24명, 현급 간부 218명이 연루되고 모밍시 당서기를 역임한 두 사람은 사형 집행유예까지 받은 사건이다. 하지만 당시 처벌 받은 사람은 20명에 불과했다. 지난달 중앙정부의 요구로 이 사건에 대한 재조사가 시작됐다. 퇴직 공직자뿐 아니라 당시 조사했던 감찰기관 담당자까지 포함됐다. 시 주석의 부패 척결 의지가 다시 부각됐다.
중국 정부는 부패 관련자 조사와 처벌은 끝까지 엄하게 한다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법적ㆍ제도적 보완과 함께 언론과 인터넷 감시를 활성화했다. 2012년 12월 공산당 기율 강화를 위한 '8항규정'을 제정해 형식주의 타파, 접대ㆍ차량 등 관용(官用)지출을 제한했다. 2013년 9월 공직자 비리를 제보하는 사이트 개설에 이어 12월에는 부패척결 5개년 계획에 해당하는 규정을 제정했다.
시 주석이 지방정부에서 중앙정부로 진출하면서 보여준 부패 척결에 대한 의지와 추진력은 지금도 이어진다. 그가 이끄는 중국 정부는 강도 높은 부패 척결을 지속할 것이다. 어쩌면 부패와의 전쟁은 시 주석 시대에 끝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중국의 경제, 사회, 미래와 관련돼 있어 가벼이 볼 일이 아니다. 한중 관계가 중요해지는 상황에서 우리 정부와 기업은 부패 척결로 인한 중국 공직사회의 변화를 주목해야 한다. 특히 중국에 투자 사업을 많이 하는 우리 기업은 부패한 정부 공직자와 관련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김창도 포스코경영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