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세계 산업계와 경제계의 관심은 IoT 경제 시대 진입의 선도 분야인 착용 가능한(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을 중심으로 달아오르고 있다. 나이키는 신체활동을 측정하는 손목 밴드인 '퓨얼밴드'로 헬스케어 시장에 진입했다. 미래 정보기술(IT) 패권을 좌우할 스마트카 시장에는 완성차 업체들뿐만 아니라 구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인텔, LG전자 등 IT와 전자업체들도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대표적 전기차 업체로 과감한 사용자경험을 제공하는 테슬라 모터스의 기세도 만만치 않다. 미래 기술 선점을 위한 경쟁도 거세다. 구글은 지난해 8개 로봇회사에 이어 최근 홈오토메이션 벤처인 네스트랩스와 인공지능 스타트업인 딥마인드 등을 인수했다. 세계 최대 온라인 쇼핑몰 업체인 아마존은 상품 배송을 위한 드론 개발을 선언했고, 페이스북은 게임ㆍ원격진료ㆍ온라인 교육 등이 가능한 가상현실 헤드셋 업체인 오큘러스를 인수했다.
우리나라도 IoT 대열에 본격적으로 합류했다. 최근 창조경제 민관협의회는 IoT를 13대 미래성장동력 가운데 하나로 발표했고 대통령도 규제개혁장관회의에서 IoT 부가가치를 확보를 위한 철저한 준비와 규제에 대해 언급했을 정도로 관심이 높다. 다행히 무선인터넷 생태계와 시장 형성을 2년 이상 늦췄던 위피(WIPI) 탑재 규정, 내국인에게만 발급됐던 공인인증서와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만 작동하는 액티브액스 의무 사용과 같이 우리나라를 인터넷 갈라파고스로 만들었던 시행착오는 IoT 시대에는 없을 것 같다.
그러나 정부 역할이 규제를 해소하는 것이 전부는 아니다. 민간기업 혹은 정부지원으로 개발된 기술이 새로운 시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적시적소에서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사용자와 시장 수용성을 검증해 전 세계로 확대할 수 있는 과감한 지원 체계가 중요하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