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을 보면 소득 증가와 고용률 상승 등의 효과가 주가 하락 등의 반대효과에 의해 상쇄돼 긍정적인 요소들 전체의 영향은 중립적이었다. 그러나 부채 상환을 비롯한 비소비 지출이 크게 늘어나고 주거비와 식료품비 부담이 커진 탓에 부정적 요소들 전체의 영향이 민생지수에 하락 압력을 가했다.
박근혜정부 출범 후 1년이 가까워진 시점에서 지수가 오히려 떨어진 데는 원인이 있다. 무엇보다 지난해 하반기에 경제정책의 초점이 복지에서 성장으로 급격히 전환된 것을 꼽을 수 있다. 경제회복세가 나타나긴 했지만 그 힘이 미약한 상태에서 기초연금안 축소조정 등 복지정책 약속이 후퇴하면서 가계 소비심리의 위축을 초래했을 가능성이 높다. 수출과 내수의 균형성장은 말뿐인 가운데 창조경제와 규제완화를 통한 성장촉진 전략은 아직 그 효과를 드러내지 못하고 있다.
올해는 대내외 경제여건의 흐름상 지난해보다 성장률이 높아질 테니 민생지수도 함께 반등할 것이라고 안이하게 생각해서는 안 된다. 성장촉진과 더불어 분배개선과 내수확대를 통해 경제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내지 못한다면 성장과 민생 둘 다 놓칠 수 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