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 현장 4년만에 가보니
"'한강 르네상스' 두 번 했으면 아주 서울시 말아먹을 뻔 했다"
35년 동안 서울에서 택시기사로 일한 문모씨(69)는 양화대교를 지나면서 혀를 찼다. 2년반에 걸쳐 490억원을 들여 교각간의 간격을 넓혔지만 막대한 공사비도, 공사하느라 교통체증을 빚게 했던 것도 고스란히 '헛일'이 되고 만 것에 대해 분통을 터뜨린 것이다.
▲양화대교 구조개선공사 당시 모습. '서해뱃길 사업'에 따라 크루즈선이 드나들도록 한다며 공사가 진행된 양화대교는 2010년 2월부터 2년 8개월간 'ㄷ자' 형태로 변형돼 통행에 큰 불편을 빚었다.(사진출처:서울시)
그러나 교각 폭이 42m에서 112m로 확장돼 6000t급 대형선박이 통행할 수 있게 된 현재 이 다리를 지나다닐 배는 없다. 착수 시점부터 비현실적 사업이라는 지적을 받았던 서해뱃길사업이 사실상 무산되었기 때문이다. 결국 양화대교는 '혈세낭비'의 대표적 사례가 되고 말았다.
양화대교 인근의 주민들은 "양화대교를 볼 때마다 어이가 없다"는 반응을 쏟아내고 있다. 양화대교 근처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는 A씨(익명요구)는 "떡복이 한 접시 팔아도 카드결제해서 세금을 내야 한다"며 "세금을 거뒀으면 피부에 와 닿는 걸 해결해줘야지, 한강르네상스 보면서 '어느 기업 하나 살리려고 그러나?'하는 생각밖에 안 들었다"고 말했다. 양화대교 북단(합정동)에서 25년 동안 구두수선집을 운영한 문모씨(54)는 "정부에서 저런 공사를 하면 주민들은 자기들이 낸 세금인 줄은 모르고 '정부가 돈이 많은가보다' 한다"면서 "주민들도 시가 하는 일을 제대로 감시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서울시는 지난해 과거 예산낭비·전시행정 사례를 분석·정리해 백서로 엮어내는 '거울 프로젝트' 첫 편으로 '양화대교 백서'를 내기도 했다. 백서는 서해뱃길 사업의 비용편익 분석 시 수상버스·크루즈 수요를 과다 적용해 사업성을 부풀린 점, 서울시장 재보궐 선거 시즌 사업중단 요구에도 시장 권한대행이 공사를 강행한 점 등을 지적하며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은 여론수렴 및 시의회 동의 등 사회적 합의과정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전상봉 회장은 "당시 시민단체 등이 우려를 표했지만 공권력 동원해 일사천리로 밀어붙이니 어쩔 수 없었다"고 말했다.
박나영 기자 bohena@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