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 해외판은 최근 '칭글리시가 세계를 휩쓸고 있다'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중국어에서 비롯된 영어 단어가 늘고 있는 것이 중국의 국력 향상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베이징외국어대의 멍더훙(孟德宏) 부교수는 "문명화되고 발전하고 매력적인 나라가 될수록 언어에 미치는 영향력도 커진다"며 칭글리시의 세력 확장은 로마 시대 라틴어와 진한(秦漢)시대 중국어, 2차대전 이후 영어처럼 중국의 영향력이 커져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인민일보는 대표적인 칭글리시로 '오랜만이다'라는 의미의 영어 표현 '롱 타임 노 시'(long time no see)를 꼽았다. 대부분의 칭글리시는 한자 의미를 그대로 영어로 옮긴 것이라는 설명이다.
'굿 굿 스터디, 데이 데이 업'(Good good study, day day up)이란 표현 역시 '열심히 공부하면 나날이 실력이 향상된다'라는 중국어 구절(好好學習, 天天向上)을 한자 의미 그대로 영어로 바꾼 표현이다.
'게이리버블'(geilivable)은 '대단하다, 멋지다'라는 의미의 유행어 '게이리'(給力)에 영어 접미사 'able'을 더해 만든 신조어로 '언게이리버블'(ungelivable)이라는 반대말까지 등장했다.
일각에선 인민일보가 칭글리시의 영향력을 과장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홍콩대 언어학자인 스티븐 매튜는 1일 홍콩 언론에 "기사에 인용된 대부분의 '칭글리시'는 중국 바깥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젊은 인터넷 사용자들이 많은 특정 집단에서만 인기 있는 단어들"이라고 꼬집었다.
지연진 기자 gyj@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