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관계자는 10일 서울 잠실롯데호텔에서 열린 '국제 정보보호 컨퍼런스'에 참석해 "내일께 금융기관의 보안관리 체계 강화대책 발표가 있을 예정인데, 금융전산 보안강화를 위해 CEO의 책임을 강화하는 내용이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2011년 농협 해킹 사건에서 용역업체들의 취약점이 원인으로 조사됨에 따라 앞으로 외주인력을 대상으로 보안관리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기업 내 임원급이 정보보안 분야의 최고 책임자를 지정하는 의무도 추진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올해 안으로 미래부와 국정원, 국방부 간에 국가 사이버 위협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도 마련된다. 또 국가 사이버 위기 관리에 대해 논의하고 대책을 수립하는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주요 우방국가를 대상으로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국제 공조 방안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그는 "향후 모바일 정부 서비스에 대해 각종 모바일 악성코드를 이용한 안보 위협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탐지 시스템 고도화하고, 보안 역량을 확충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보경 기자 bkly477@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