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 뿐만 아니라 경력을 속이는 일도 종종 일어난다. 근무기간을 늘리거나 성과를 부풀리는 등 일종의 '사소한 수정'으로 여기는 경우인데 이는 명백한 경력 위조에 해당한다. 최근 기업들이 인재검증 서비스 업체에 경력·평판조회를 의뢰하고 있는 이유다. 엔터웨이 피플체크와 함께 가장 빈번하게 발견되는 경력 위조 유형에 대해 알아봤다.
◆"여러 경력을 하나로 합쳤을 뿐인데"= 경력직 채용에서 기업이 기피하는 지원자 유형은 이직이 잦거나 근무기간이 짧은 경력이 여럿 있는 경우다. 이런 약점을 감추기 위해 근무기간이 짧은 여러 경력을 하나로 합치거나, 전 직장 경력을 아예 이력서에 기재하지 않기도 한다. 이직 횟수가 적고 한 직장에서 오랫동안 일한 것처럼 보이기 위해서다. 특히 (해외) 명문대를 졸업하고 좋은 학벌을 경쟁력이라고 생각해 자주 직장을 옮겨다닌 지원자가 경력을 합쳐 위조하면 재취업에 성공할 확률이 상당히 높아진다고 한다. 실제로 뛰어난 학벌을 내세운 한 직장인은 7년 동안 8번이나 회사를 옮겼는데, 이력서에 이직 횟수를 위조해 또 다시 이직을 시도해 문제가 되기도 했었다.
◆"경력사항 위조했으니 증명서도…"= 이력서에 경력사항을 위조했다면 입사할 때 제출해야할 서류도 이에 맞춰야 한다. 대부분 전 직장에서 경력증명서를 발급받아 위조 증명서를 만든다. 경력증명서를 제출하면 회사에서 별다른 확인절차를 하지 않고 경력내용을 인정한다는 점을 이용해 문서를 위조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경력증명서 외에도 국민연금이나 건강보험 가입증명서를 위조해 경력증빙을 시도하다 발각된 사례도 있었다.
엔터웨이 피플체크 관계자는 "이력서만 수정하면 된다는 식의 위조경력은 하루에도 몇 건씩 발견이 되고, 지속적으로 위조가 발견돼 채용이 취소되기도 한다"면서 "과거와 달리 기업이 여러 방법을 통해 위조여부를 판단하는 만큼 위조이력서를 작성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박혜정 기자 parky@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