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회의는 이달 24일 서울에서 열릴 예정이었다. 통상 6월에 열리는 회의가 8월까지 밀린 건 소비세 인상으로 진통을 겪은 일본의 국내정치 사정 때문이다. 올해 회의 날짜는 이 문제로 네 차례나 미뤄 어렵게 잡았다. 이런 사정을 고려하면 회의를 보름 앞두고 또 다시 일정을 미루자는 일본 정부의 요청은 이례적이다.
정부는 이번 일로 양국의 경제협력에 차질이 생길까 우려하고 있다. 양국 재무장관은 매년 6월 서울과 도쿄를 오가며 만나 경제 현안을 논의하고 우의를 다져왔다. 2000년부터는 회의에 즈음해 일본 재무성과 재정부 직원들의 친선 축구대회도 열었다. 게임이 끝나면 땀에 젖은 유니폼을 바꿔 입고 실무에 들어간다. 사무실에서 넥타이 매고 할 땐 진전 없던 얘기들이 이렇게 풀린 경우가 많았다. 지난해 3월 동일본 대지진 당시엔 윤증현 전(前) 재정부 장관이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당시 재무상 앞으로 위로의 뜻을 담은 편지를 보내기도 했다.
교도통신은 13일 독도 문제와 별개로 한일 양국의 통화스와프와 일본 정부의 한국 국채 매입 등 금융 협력은 유지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하지만 앞서 나온 마이니치신문 여론조사에서 일본 국민의 절반은 '이 대통령의 독도 방문으로 한국에 대한 감정이 악화했다'고 응답해 양국 관계의 전망은 불투명한 상황이다.
박연미 기자 change@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