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트럼프 "시진핑과 2주내 만날 것…100% 관세 지속 불가"

트럼프 "시진핑과 2주내 만날 것…100% 관세 지속 불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조만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만날 예정이라고 17일(현지시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보도된 폭스 비즈니스 인터뷰에서 미중 정상회담 개최 여부와 관련해 "시 주석을 2주 안에 만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은 이달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연쇄 국빈 방한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과 관계

오늘의 지수
  • 코스피

    3,748.89

    상승 0.52 +0.01%

  • 코스닥

    859.54

    하락 5.87 -0.68%

  • 원/달러

    1,422.30

    3.80 +0.27%

  • 원/100엔

    944.80

    0.71 +0.08%

  • 원/유로

    1,659.26

    0.32 +0.02%

  • 원/위안

    199.52

    0.40 +0.20%

  • 삼성전자

    97,900

    상승 200 +0.20%

  • SK하이닉스

    465,500

    상승 13,000 +2.87%

  • LG에너지솔루션

    434,000

    상승 13,500 +3.21%

  • 삼성바이오로직스

    1,117,000

    하락 16,000 -1.41%

  • 삼성전자우

    75,000

    상승 100 +0.13%

  • 알테오젠

    433,000

    상승 1,000 +0.23%

  • 에코프로비엠

    161,000

    상승 18,000 +12.59%

  • 에코프로

    73,300

    상승 15,600 +27.04%

  • 레인보우로보틱스

    331,500

    하락 12,000 -3.49%

  • 펩트론

    253,500

    하락 3,000 -1.17%

10.17 기준

  • [초동시각]코스피 랠리에도...어쩌다 한국은 '양치기 소년'이 됐나
    [초동시각]코스피 랠리에도...어쩌다 한국은 '양치기 소년'이 됐나

    "이번엔 다르다." 새 정부 출범 때마다 '자본시장 개혁'을 외치며 반복된 말이다. 하지만 최근 코스피 랠리에도 불구하고 상당수 해외 투자자의 귀엔 여전히 그 말이 공허한 듯하다. 한국은 어쩌다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양치기 소년'과 마찬가지인 존재가 됐을까. 최근 인터뷰한 월가 출신의 저명 투자전략가 데이비드 로치 퀀텀스트래티지 창업자는 올 들어 확인된 코스피 랠리에도 한국 시장에 대한 노골적인 '불신'을 숨기지 않

  • [경제 인사이트]뜬금없는 금산분리 완화
    [경제 인사이트]뜬금없는 금산분리 완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0월 1일 인공지능(AI) 산업에 한해 금산(금융-산업)분리 규제를 완화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대통령실에서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이재용 삼성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등을 만나 “(AI 투자) 규모 자체가 워낙 크기 때문에 재원을 조달할 때 독점의 폐해가 없다는 안전장치가 마련된 범위 내에서 금산분리 규제를 완화하는 방안도 검토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첨단산

  • [기자수첩]AI 투자 열풍 뒤 메말라가는 혁신
    [기자수첩]AI 투자 열풍 뒤 메말라가는 혁신

    "인공지능(AI) 기술 얹어 AI 펀드라도 받아야 할까요?" 국내 벤처투자 시장에 모처럼 훈풍이 불고 있지만 여전히 볕 들지 않는 곳이 있다. 그중 하나가 바이오·의료 분야다. 코로나19 팬데믹 초기 백신, 치료제, 진단기기 등에 대한 수요 폭증으로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았던 바이오·의료 스타트업들이 불과 4~5년 만에 투자 가뭄에 시달리며 고사 위기에 직면해 있다. 벤처투자 시장의 대기 자금은 AI 스타트업으로 빠르

많이 본 뉴스

"한국 화장품 공짜래" 日 여성들 무료 자판기로 '우르르'
"한국 화장품 공짜래" 日 여성들 무료 자판기로 '우르르'

자판기 천국 일본에서 무료 자판기가 인기를 얻고 있다. 고객은 비용 부담이 없고 기업 입장에서는 고객정보와 함께 상품의 후기, 마케팅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자판기를 설치한 곳에서는 유동인구를 늘릴 수 있어 전국으로 확산 중이다. 일본에서 인기는 한국 화장품의 경우 무료료 샘플을 나눠주고 판매도 하는 자판기가 인기를 모으자 1년 새 자판기 설치 대수가 6배 늘어나기도 했다.◆ 고객·제조사·상업시설 모두에게 '윈윈

"월급 200 고졸 주제에 감히"…신혼여행 간 신부, 숙박업소 직원에 막말

"월급 200 고졸 주제에 감히"…신혼여행 간 신부, 숙박업소 직원에 막말

제주도의 한 숙박업소에서 신혼여행을 온 부부가 직원에게 욕설과 폭언을 퍼붓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들은 당일 예약 취소가 불가능하다는 직원의 안내에 격분해 인신공격성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숙박업소 측은 "그냥 넘어가선 안 된다는 데 의견이 모였다"며 법적 대응을 예고했다. "규정상 당일 취소 어렵다" 안내에도 인신공격 쏟아내 15일 JTBC '사건반장'은 최근 여행 관련 앱을 통해 해당 숙소에 당일 숙박을 예약한

"절대 못 잡죠" 조롱글까지…인천 고교 폭발물 협박범 추적 난항

"절대 못 잡죠" 조롱글까지…인천 고교 폭발물 협박범 추적 난항

인천 대인고등학교를 상대로 연일 폭발물 협박글이 올라오면서 경찰이 수사에 나섰지만 용의자 추적에 난항을 겪고 있다. 협박범은 오히려 경찰을 조롱하는 글을 올리며 수사망을 비웃었다.17일 인천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전날 119 안전신고센터 홈페이지에는 "대인고 폭파 사건 작성자다. 나 절대 못잡죠. VPN(가상사설망) 5번 우회하니까 아무것도 못 하죠"라는 글이 올라왔다. 협박범으로 추정되는 이 인물은 "나흘 동안 xxx 치

경제·금융

산업·IT

  • '5조' 몸집 키운 韓버거 시장…美 서부 상징 '인앤아웃', 진출 머뭇 '왜?'

    국내 햄버거 시장이 5조원 규모로 성장한 가운데 미국 서부의 상징 '인앤아웃 버거'만 한국 시장 진출에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쉐이크쉑'과 '파이브가이즈'가 잇달아 국내에 상륙하며 버거의 고급화 흐름을 이끌었지만, 인앤아웃은 '냉동은 없다'는 원칙 아래 품질 유지를 위해 확장을 자제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외식 업계에서는 인앤아웃의 향후 정식 진출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브랜드 도입을 제안하고 있는 것으로

  • "美 기업 한곳서 GPU 72만장 가동"…전문가들, 韓 AI '규제 혁신' 강조

    전세계 우수 인력과 자본이 집중된 미국 실리콘밸리가 인공지능(AI)를 통해 재도약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의 AI 지원 전략에 대해 한·미 전문가들이 논의에 나섰다. 대한상공회의소와 국회입법조사처는 17일 상의회관에서 '한-미 혁신생태계 및 AI 미래전략'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미국 샌프란시스코 소재 경제연구소인 '베이 에어리어 카운슬 경제 연구소'의 션 란돌프(Sean Randolph) 시니어 디렉터는 "2024년 전세계

  • [아경와인셀라]토스카나 탐미주의가 빚어낸 미미(美味)

    편집자주하늘 아래 같은 와인은 없습니다. 매년 같은 땅에서 자란 포도를 이용해 같은 방식으로 양조하고 숙성하더라도 매번 다른 결과물과 마주하게 됩니다. 와인은 인간과 자연이 어우러져 만들어지는 '우연의 술'입니다. 단 한 번의 강렬한 기억만 남긴 채 말없이 사라지는 와인은 하나같이 흥미로운 사연을 품고 있습니다. '아경와인셀라'는 저마다 다른 사정에 따라 빚어지고 익어가는 와인 이야기를 하나하나 꺼내 들려 드립

  • 한화시스템, 해외수출로 역대 최대실적 노린다

    영국 군사정보기업 제임스의 '세계 방산시장 연감'에 따르면 레이다 전체시장 규모는 올해부터 2034년까지 10년간 616조 8000억원에 달한다. 유지·보수·정비(MRO) 시장 규모도 같은 기간 17조원(지상 11조 3000억원·해상 2조 9000억원·항공 2조 8000억원)에 달한다. 레이다 시장규모가 커지는 것은 각국이 6세대 전투기 개발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유럽에선 이미 독일의 주도 아래 프랑스, 스페인이 함께 6세대 전투기 '미래

정치·사회

트렌드

  • [짜발량이]임윤찬 인터뷰와 '어쩔수가없다'

    피아니스트 조성진은 정확히 10년 전 이맘때 수많은 클래식 음악 콩쿠르 중에서도 독보적 권위를 자랑하는 쇼팽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세계적인 연주자로 발돋움했다. 그런 조성진조차 콩쿠르라는 치열한 경쟁 무대에서 느끼는 스트레스가 상당했던 모양이다. 조성진은 우승 소감에서 "다시는 콩쿠르에 나가지 않아도 돼 기쁘다"고 했다. 조성진은 또 어느 인터뷰에서 쇼팽 콩쿠르에 다시 나가는 악몽을 꾸기도 한다고 했다. 많은 연

  • 국립중앙박물관 누적 관람객 500만명 돌파…"세계 5위권 박물관 수준"

    국립중앙박물관은 지난 15일 기준 연간 누적 관람객 500만명을 돌파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약 290만) 대비 약 70% 증가한 수치로 역대 최대 규모다. 국립중앙박물관이 K컬처 시대를 대표하는 전통문화 중심지로 굳건히 자리매김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미술 전문 매체 '아트 뉴스페이퍼'의 지난해 세계 박물관 연간 관람객 수 집계에 따르면 세계 5위권 박물관의 관람객 수는 500만명 수준이다 이에 따라 국립중앙박

  • 스웨덴 빅토리아 왕세녀, SM 방문해 K팝 창작 현장 탐방

    스웨덴 왕실의 빅토리아 왕세녀와 다니엘 왕자가 K팝 산업 창작 현장을 둘러봤다고 SM엔터테인먼트가 17일 밝혔다. 이번 방문은 왕세녀 부부의 공식 방한 일정 중 문화·창의산업 교류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이날 서울 성수동 SM엔터테인먼트 사옥을 찾은 왕세녀 내외는 장철혁·탁영준 공동대표, 이성수 CAO(Chief A&R Officer), 최정민 CGO(Chief Global Officer) 등의 안내를 받으며 레코딩 스튜디오, 아티스트 스튜디오, 송

  • 7세기 백제 미륵사, AR로 되살아난다…내년 2월까지 체험 무료

    세계유산 익산 미륵사지가 첨단 기술로 되살아난다.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은 익산시와 내년 2월 8일까지 전북 익산 미륵사지 현장에서 '미륵사 디지털 복원 체험 안내센터'를 운영한다고 17일 밝혔다. 관람객은 증강현실(AR) 기술로 복원된 미륵사 중문(동원·중원·서원)을 현장에서 직접 보고 체험할 수 있다. 7세기 백제 무왕 때 창건된 미륵사는 왕실의 안녕과 중생의 구제를 기원하기 위해 세워졌으며, 현재는 국보

골프

  • 쭈타누깐, 한화 라이프플러스 인터내셔널 크라운 불참

    에리야 쭈타누깐(태국)이 한화 라이프플러스 인터내셔널 크라운에 불참한다. 인터내셔널 크라운 대회 조직위원회는 17일 "쭈타누깐이 부상으로 기권함에 따라 재스민 수완나뿌라(태국)가 대신 출전한다"고 발표했다. 수완나뿌라는 2012년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에 데뷔해 통산 3승을 올린 선수다. 현재 세계랭킹은 138위다. 인터내셔널 크라운은 여자 골프 국가대항전 성격을 띠고 있다. 한국, 미국, 일본, 중국, 태국, 스웨

  • '골프 대회 마케팅' BMW, 아이 러브 코리아~

    BMW는 골프 마케팅 효과를 톡톡히 누리는 기업이다. 전 세계에서 다양한 골프 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미국프로골프(PGA) 투어에선 페덱스컵 플레이오프 2차전인 BMW 챔피언십을 후원하고 있고, DP 월드투어에선 특급 이벤트인 BMW PGA 챔피언십을 열고 있다. BMW의 주요 공략시장인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국내 유일의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이 있다. 올해는 16일 전남 해남의 파인비치 골프링크스에

  • 한진선, 샷 이글 봤어?…'6언더파 66타'

    한진선이 샷 이글을 기록했다. 16일 경기도 양주시 레이크우드 컨트리클럽(파72·6605야드)에서 열린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 상상인·한경 와우넷 오픈(총상금 12억원) 1라운드에서 이글 1개와 버디 5개, 보기 1개를 엮었다. 대회 첫날 6언더파 66타를 작성해 우승 경쟁에 뛰어들었다. 한진선은 4번 홀(파5) 버디를 6번 홀(파3) 보기로 까먹었지만 7번 홀(파5)에서 샷 이글을 성공시키며 분위기를 바꿨다. 후반에는 10~13번

실시간 환율 2025.10.18 03:28 새로고침

미국 달러($)

(KRW/USD)

0

0.000.00%

유럽연합 유로(€)

(KRW/EUR)

0

0.000.00%

일본 100엔(¥)

(KRW/JPY)

0

0.000.00%

중국 위안(¥)

(KRW/CNY)

0

0.000.00%

영국 파운드(£)

(KRW/GBP)

0

0.000.00%

홍콩 달러(HK$)

(KRW/HKD)

0

0.000.00%

싱가포르 달러(S$)

(KRW/SGD)

0

0.000.00%

베트남 100동(đ)

(KRW/VND)

0

0.000.00%

호주 달러(A$)

(KRW/AUD)

0

0.000.00%
실시간 환율 더보기

언론사 홈 구독

지금 뜨는 이슈, 네이버에서 만나요

top버튼